중동·아프리카학과

  • 소개

    중동·아프리카학과는 어문학과 지역학에 기반하여 중동·아프리카 지역을 보다 종합적이고 전문적으로 연구하기 위하여 2017년 설립되었다. 본 학과는 중동·아프리카 지역을 대표하는 현지 언어 중 하나인 아랍어와 아랍문학 그리고 이 지역의 역사·문화·정치·경제 전반을 아우르는 지역학에 교과과정의 초점을 맞추어 중동 및 아프리카 지역전문가를 양성함으로써 한국과 중동·아프리카지역 간 문화교류와 협력증진에 기여하고자 한다. 이와 함께 기존 서구중심의 언론과 학술연구에 의해 형성된 중동·아프리카지역에 대한 잘못된 오해와 편견을 탈피하여 이 지역을 새롭게 해석하고 구성할 뿐만 아니라 보다 생산적인 비판과 건설적인 담론을 제시함으로써 새로운 학문적 토대 구축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 전공소개

    ∙ 아랍어학(Arabic Linguistics)
    아랍어학은 지역의 대표 언어인 아랍어 구사 능력을 배양하고, 아랍어 발달사 등을 학습하여 중동·아프리카 지역의 제반 학문분야에서 체계적이고 심도 있는 연구를 할 수 있는 기본 역량을 기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세부적으로 아랍어 원서를 읽고 이해하며, 현지인과의 원활한 의사소통이 될 수 있는 능력을 갖추는 실용 교과와 더불어 아랍어 발달의 역사, 아랍어와 아랍사회와의 영향 관계, 아랍어가 이슬람에 미치는 영향, 문화 현상으로서 아랍어 구어체 연구 등 세부 테마별 연구를 병행한다.

    ∙ 아랍문학(Arabic Literature)
    아랍문학은 중동·아프리카 사회와 정신을 이해하는데 가장 유용한 수단일 뿐만 아니라 해당 지역인들과의 교류 및 소통에 있어서 최상의 도구이다. 따라서 아랍문학에 대한 이해는 곧 아랍역사와 아랍인의 정서를 파악하는데 유용하다는 점에서, 아랍문학사를 고대-중세-근현대로 나누어 심도 있게 고찰하고, 대표적인 문인들의 시, 소설, 수필 등 다양한 장르의 문학 작품들을 아랍어로 직접 읽고 문학적으로 비평함으로써 아랍사회를 좀 더 깊이 있게 이해한다. 세부적으로 아랍문학사 연구, 아랍 장르 연구, 아랍문학비평 등을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한다.

    ∙ 중동·아프리카 역사(Middle Eastern and African History)
    중동·아프리카 역사는 변화하는 국제정세 속에서, 유동적인 공간으로서 중동・아프리카 지역을 총체적으로 파악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중동·아프리카 역사는 시대별로, 고대・중세・현대사로 나눌 수 있다. 따라서 이 전공은 통시적으로 각각 시대별 역사가 생성・변화・발전되는 과정을 추적하며, 각 시대별 특성을 대표하는 핵심적인 세부 주제별 연구를 병행한다.

    ∙ 중동·아프리카 문화(Middle Eastern and African Culture)
    중동·아프리카 문화는 시대별, 지역별, 국가별, 계층별, 성별 물질문화와 정신문화를 분석하고 비교함으로써, 장기적인 문화변동 과정뿐만 아니라 단기적인 문화변동 양상을 파악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문화는 ‘집단과 개인’, ‘내부와 외부’, ‘과거와 현재’의 세 가지 긴장관계를 통해서 만들어진다. 이 긴장관계는 ‘공동체, 지역주의, 전통’이라는 하나의 축과 ‘개인, 세계주의, 새로운 것’이라는 또 하나의 축이 대립하는 구조로 나타난다. 이 교과영역은 세 가지 긴장관계와 두 개의 축이 상호작용하면서, 만들어지는 중동・아프리카 지역의 모습을 연구한다.

    ∙ 중동·아프리카 정치(Middle Eastern and African Politics)
    중동·아프리카 정치는 중동·아프리카 정치 현상을 분석하고, 설명하고, 이해할 뿐만 아니라, 미래를 전망하며, 올바른 비전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 전공은 현대 중동・아프리카 정치제도가 어떻게 형성되고 작동되는지를 포괄적으로 연구하고, 동시에 국가별 정치제도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 분석한다.

    ∙ 중동·아프리카 경제(Middle Eastern and African Economy)
    중동·아프리카 경제는 역사적으로 이 지역이 세계경제에서 동서 경제·문화 교류에 어떠한 역할을 수행해 왔는지 고찰해 보고 근대 이후 본격적으로 시작된 이 지역의 경제적 후퇴 원인과 문제점을 분석한다. 이와 함께 20세기 영국과 미국을 중심으로 한 메이저 석유회사들의 이 지역 석유개발참여 역사와 각국별 석유정책을 살펴보고, 석유자원으로부터 획득한 오일머니가 이 지역 국가의 경제구조에 미친 영향과 함께 지도층과 국민들 사이의 정치적 관계형성에 어떻게 작용했는지 'Rentier State Theory'를 중심으로 고찰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