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윤수 사진

이윤수 | 대학원 스포츠사이언스융합학과 (체육관)

  • 직급:
    교수

교수소개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체육교육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스포츠 교육학 전공으로 석사학위를 취득하였다. 미국 The Ohio State University에서 Physical Education Teacher Education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한 후 미국 Middle Tennessee State University에서 조교수로 4년 반 동안 근무한 후 2015학년도 1학기에 본교 사범대학 체육교육과 교수로 부임하였다. 학회 활동으로는 미국의 SHAPE America 정회원으로 활동하고 있고, 스포츠 교육학 분야의 여러 저명한 저널에서 편집위원(IJHSPE)과 심사위원(JTPE, RQES 등)으로 활동하고 있다. 또한 한국스포츠교육학회에서 총무이사, 교육이사, 국제이사로 활동한 바 있다. 현재는 한국스포츠교육학회에서 감사와 편집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현재 학부과정 전공 수업으로는 체육교과교재연구 및 지도법, 체육교과교육론, 체육교육실습의 이론과 참관실습, 학교현장실습, 축구지도법, 농구지도와 수업시연 교과목 등을 강의하고 있다.
2022년에는 미국 East Carolina University에서 교환교수로 ECU 교수진과 공동연구를 진행하였다.

교육철학

저는 제 교육철학에 따라 교육을 설계하고 구현합니다. 그 교육철학을 다음과 같은 3가지 범주로 요약했습니다. 그 범주는 무엇을 가르칠지, 어떻게 가르칠지, 어떻게 교수 효율성을 평가할 수 있는지입니다.

1. 가르칠 내용(what to teach)

교수자로서 무엇을 가르칠지 모른다면 가르칠 것이 없습니다. 이것이 내용 지식의 중요성 측면에서 저의 기본 철학입니다. 저는 항상 수업을 관찰함으로써 다른 사람들의 가르칠 뿐만 아니라 연구 결과로부터 배우려고 노력합니다. 우선, 관찰로부터 배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다른 교수법, 교수 전략 및 교수 평가를 포함하여 많은 정보를 관찰에서 얻습니다. 그 정보를 통해 저는 제 수업에서 그 정보의 사용에 대한 적절성과 효과성 측면에서 꼭 필요한 부분을 선택합니다. 둘째, 연구는 저의 가르침에 대한 단서를 제공하며, 그와 반대로 가르침을 통해서 연구에 대한 아이디어를 얻습니다. 제가 가르칠 때, 저는 저의 가르침을 연구 자료로 봅니다. 그러한 연구 결과에 기초하여, 저는 항상 제 가르침에 대한 새로운 내용을 계속 업데이트합니다.

2. 전달하는 방법(how to deliever)

학생들에게 지식을 전달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저는 동료 및 소그룹 토론, 실습 과제 및 테스트, 협동 학습 및 학생들과의 일대일 및 소그룹 회의를 포함하여 다양한 교육 전략을 사용합니다. 이러한 전략을 통해 학생들을 격려하고 긍정적인 피드백을 통해 수업에서 좋은 분위기를 조성합니다. 학생들이 수업 내용을 이해하고 교수자와 학생들이 상호 작용할 수 있는 여러 가지 기회를 제공받기를 원합니다. 또한 학생들이 저뿐만 아니라 서로 상호 작용하여 내용을 더 깊이 이해하기 위해 피상적인 수준 이상의 수업 내용을 이해하기를 원합니다.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PowerPoint 슬라이드, 비디오 클립, 사진 및 차트 용지를 포함한 다양한 미디어와 기자재를 사용합니다.

3. 교수 효율성 평가 방법(how to assess teaching effectiveness)

저는 학생들이 저의 가르침이 효과적인지, 또 학생들이 제대로 배우고 있는지를 평가합니다. 대부분의 교사 교육 문헌은 교사의 효율성을 평가하고자 할 때 학생의 학습에 대한 성취도 측정 결과를 말합니다. 또한 자기 성찰과 반성은 교수 효율성을 평가하는 것 중 하나입니다. 저는 매일 저의 가르침을 반성하여 무엇이 효과가 있었으며 왜 효과가 있었는지 혹은 없었는지에 대해 생각합니다. 그러한 자기 성찰과 반성을 통하여 저는 다음 학기 수업을 위한 새로운 목표를 설정하고, 강의 방법을 바꾸고, 새로운 사례를 탐색하고, 다양한 활동을 제공하며, 다른 교수 전략을 사용하여 교수법을 개선하려고 노력합니다. 교수 효율성 평가에 사용하는 또 다른 것은 학생들을 위한 다양한 유형의 평가입니다. 예를 들어, 퀴즈, 필기 시험, 프로젝트 및 프레젠테이션, 포트폴리오 등을 평가 도구로 사용합니다. 학기 중에 학생들의 저의 수업을 잘 따라오는지 확인하기 위해 익명으로 그들의 피드백을 받습니다.

마지막으로 저는 항상 수업에서 학생들로부터 무엇이든 배우려고 노력합니다. 이것이 저의 배움에 대한 그리고 가르침에 대한 가장 큰 철학입니다.

학력

  • [1995] 고 휘문고등학교 /
  • [1999] 학사 서울대학교 / 사범대학 체육교육과 / 체육교육
  • [2001] 석사 서울대학교 / 체육교육과 체육교육전공 / 스포츠 교육학
  • [2011] 박사 The Ohio State Univ. / Physical Activity and Education Services / Physical Education Teacher Education

주요경력

  • Middle Tennessee State University (2010-08-01)
  • 공군사관학교 (2002-04-24)
  • 공군사관학교 (2003-04-22)

주요연구분야

교사효율성
교사지식
교사연수
개념도

컨설팅 가능 분야

스포츠 교육학
학교체육
교사교육
학교현장실습

연구업적

  • 일반논문[20240831] 중·고등학교 태권도부 겨루기 지도자 역량 척도 개발
  • 일반논문[20240401] Initiating and Sustaining a Teacher-Initiated Community of Practice as a Form of Continuing Professional Development: Internal Leaders’ Perspectives
  • 일반논문[20240229] 사범대학 체육교육과 여학생의 진로 전환의 의미 탐색
  • 일반논문[20200715] How to Improve Teacher’s Content Knowledge for Teaching Fundamental Motor Skills(FMS): The Application of a Content Knowledge Packet
  • 일반논문[20200131] 초등체육수업에서 교사의 동기부여방식과 과제가치 및 과제지속의도의 구조적 관계
  • 일반논문[20190930] 지도자 인식 기반 초등학교 태권도 겨루기 선수들의 경기력 향상 방안
  • 일반논문[20190930] 체육중점학교 운영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일반논문[20190831] 학교스포츠클럽 참여자의 성취목표성향이 스포츠 자신감 및 운동 정서에 미치는 영향
  • 일반논문[20190715] Physical Education Experiences among Athletes with Visual Impairments in South Korea
  • 일반논문[20181231] 축구단원 일반내용지식 검사도구 개발 및 타당화
  • 일반논문[20181130] 중학교 자유학기제 체육활동의 재미요인이 수업몰입 및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일반논문[20180630] 종합대학 교원의 교수역량 지원 교육 체계 개발
  • 일반논문[20180531] 소외계층의 스포츠복지 제약척도 개발
  • 일반논문[20180228] 방송통신중·고 대학 연계 기초학습 튜터링 프로그램 연구: 튜티의 튜터 역할기대 인식을 중심으로
  • 일반논문[20170101] Using Content Maps to Measure Content Development in Physical Education: Validation and Application
  • 일반논문[20161231] 체육교육실습 경험을 통해 예비교사가 인식한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 일반논문[20161130] The Study of Physical Activity and Health–Related Fitness Content Knowledge among Undergraduate Kinesiology Students
  • 일반논문[20160831]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Observation Tool in Physical Education (PCKPE)
  • 일반논문[20160731] Effects of a Specialized Content Knowledge Workshop on Preservice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Physical Education Teaching
  • 일반논문[20160405] Measuring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Preservice Teachers in Physical Education
  • 일반논문[20151001] The Shift of Conceptual Views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 how does it impact on research in physical education
  • 일반논문[20150702] Evaluation of the Short-Form Health Survey (SF-36) Using the Rasch Model
  • 일반논문[20150424] Content Maps: A Teaching and Assessment Tool for Content Knowledge
  • 일반논문[20150401] Systematic Review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ssessments in Physical Activity Research
  • 일반논문[20150325] Validity and Responsiveness of Concept Map Assessment Scores in Physical Education
  • 일반논문[20150101] A Critical Examination of Movement Content Knowledge Courses in Physical Education Teacher Education Programs
  • 저서/역서[20171206] Effective Physical Education Content and Instruction (An Evidence-Based and Teacher-Tested Approa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