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원경 사진

송원경 | 대학원 생명자원과학과(천)

  • 직급:
    부교수

교수소개

서울대학교 조경학과를 졸업한 이후 동 대학원에서 환경생태학, GIS/RS, 생태모델링 분야로 석사 및 박사학위를 받았다. 주 전공분야는 야생동식물 서식환경 분석 및 공간분석, 그리고 이를 고려한 환경생태계획 수립이다. 이후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KEI)에서 박사후연구원, 수원시정연구원(SRI)에서 연구위원으로 근무하며 국토광역조경, 환경정책, 국토공간정보, 기후변화적응대책, 생물다양성보전정책, 지역규모의 조경계획 및 환경생태계획 등에 관한 프로젝트를 수행하였다.

교육철학

- 강의자료를 사전에 준비하고 지속적으로 보완한다.
- 최대한 학생들의 참여를 유도한다.
- 합의된 기준에 맞게 공정하게 평가한다.
- 학생들과 늘 대화한다.

학력

  • [2004] 학사 서울대학교 / 조경·지역시스템공학부
  • [2006] 석사 서울대학교 / 생태조경학과 / 경관생태학/생태복원
  • [2011] 박사 서울대학교 / 협동과정조경학 / 경관생태학/GIS/환경계획

주요경력

  •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09-01-19)
  • 수원시정연구원 (2013-03-25)

주요연구분야

- 환경생태학 및 경관생태학에 기초한 조경/환경생태계획, 생태계서비스
- GIS 및 RS, 공간통계 기반 정량적 환경 분석(Spatial Ecology)
- 생태계 모델링(야생생물 서식환경 분석, 생태네트워크 및 경관연결성 등)
- 생태복원 및 모니터링, 사후관리 관련 드론 및 UAV 활용
- 조경소재, 친환경조경재료 및 시공

컨설팅 가능 분야

- 경관생태학 및 정량적 환경생태 분석
- GIS/RS 및 공간모델링, 드론(UAV) 활용 분석
- 야생생물 서식지 분석
- 경관연결성 측정 및 생태네트워크 연구
- 기후변화적응정책
- 생태계서비스 모델링 및 정책

연구업적

  • 일반논문[20240115] Identification of High-Priority Wild Boar (Sus scrofa) Control Areas by Predicting Potential Habitat and Crop Damage
  • 일반논문[20231230] 종간 둥지 탈취로 발생한 박새(Parus major)와 곤줄박이(Parus varius)의 혼합 육추 사례
  • 일반논문[20231217] 인공새집 모니터링이 초중고 학생들의 환경보전 인식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
  • 일반논문[20231024] Utilization of ecosystem services in future vision decision-making for climate resilient cities
  • 일반논문[20230831] 토지피복변화에 따른 금강 상류 댐 유역 산림 경관의 구조적 변화 분석
  • 일반논문[20230831] 카메라 트래핑 기법과 YOLO-X 알고리즘 기반의 도시 야생동물 탐지 및 분석방법론 개발
  • 일반논문[20230820] A Study on Wetland Cover Map Formulation and Evaluation Using Unmanned Aerial Vehicle High-Resolution Images
  • 일반논문[20230630]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시민참여 인공새집 모니터링 방안 연구
  • 일반논문[20230301] Habitat probability prediction of umbrella species in urban ecosystems including habitat suitability of prey species
  • 일반논문[20230101] Cooling Effect of Urban Blue and Green Spaces: A Case Study of Changsha, China
  • 일반논문[20230101] Prediction of Native Seed Habitat Distribution According to SSP Scenario and Seed Transfer Zones: A Focus on Acer pictum subsp. mono and Quercus acuta
  • 일반논문[20221201] Environmental DNA metabarcoding effectively monitors terrestrial species by using urban green spaces
  • 일반논문[20221201] 인공새집에서 관찰된 딱새(Phoenicurus auroreus)와 박새(Parus major)의 혼합 육추 사례
  • 일반논문[20221201] 박새과 조류의 둥지 재료 내 중금속(Zn, Pb) 축적특성 연구
  • 일반논문[20221001] UAV 기반 외래거북 탐지를 위한 광학문자 인식(OCR)의 가능성 평가
  • 일반논문[20220901] SSP 시나리오 상세화 자료 기반 생태기후지수를 활용한 고로쇠나무 분포 예측
  • 일반논문[20220801] 멧돼지(Sus scrofa) 서식지 및 이동 특성을 고려한 연결성 모델링 연구
  • 일반논문[20220801] 수원시의 조류 충돌에 영향을 미치는 공간 구성
  • 일반논문[20220801] 녹지축의 생태적 기능 강화를 위한 도시녹지 연결경로 도출 연구 - 수원시 대상 -
  • 일반논문[20220401] LANDIS-II를 활용한 대청댐 유역 식생천이 예측
  • 일반논문[20220201] 잠정종자이동구역과 종분포모형을 이용한 자생 종자 분포 범위 연구
  • 일반논문[20220201] 연결성 모델링을 활용한 빈집 녹지화 우선순위 평가
  • 일반논문[20211201] 빅데이터를 활용한 기후변화와 연계된 생태계서비스 연구 동향분석
  • 일반논문[20211201] 대청댐 유역 굴참나무림의 군락분류학 및 군락생태학적 연구
  • 일반논문[20211001] HSI와 MaxEnt를 통한 삵의 서식지 예측 모델 비교 연구
  • 일반논문[20210601] 도시녹지 유형별 박새과 둥지 재료 특성 연구
  • 일반논문[20210601] Introduction and Spread of the Invasive Alien Species Ageratina altissima in a Disturbed Forest Ecosystem
  • 일반논문[20210401] 대청댐 유역 상수리나무림의 식물사회학적 특성*
  • 일반논문[20210401] 이해관계자와 이용객 설문 조사를 통한 국내 ODA 산림협력사업 평가 연구 - 인도네시아 룸핀양묘장 사업을 대상으로 -
  • 일반논문[20210401] 도시개발 시나리오에 따른 농업지역의 생태계서비스 변화 분석 - 3기 신도시 남양주 왕숙1지구를 대상으로 -
  • 일반논문[20210401] 서울 도심 공지의 개발 시나리오에 따른 미기후 영향 분석
  • 일반논문[20210401] 미국 잠정종자이동구역(Seed transfer zone) 개념의 국내 적용 방안
  • 일반논문[20210201] 카메라트래핑을 활용한 광교신도시 내 도시형 생태통로 모니터링
  • 일반논문[20210201] LiDAR-derived three-dimensional ecological connectivity mapping for urban bird species
  • 일반논문[20201001] 지역의 미래 환경 비전 공간화를 위한 토지이용계획 시나리오 체계 연구
  • 일반논문[20200901] 초분광 영상을 이용한 액비 오염지역의 질산성질소 농도 추정
  • 일반논문[20200401] Microhabitat characteristics affecting the occurrence and diversity of queen hornets (genus Vespa) in an urban green area
  • 일반논문[20200401] 도시 내 육상 생물종 모니터링을 위한 환경DNA 리뷰 및 적용
  • 일반논문[20200201] 도시공원에 번식하는 박새의 이소 전후 어미 행동권 분석
  • 일반논문[20191001] 무인항공기를 활용한 저수지 인공식물섬 조류 이용현황 분석
  • 일반논문[20191001] 환경공간정보를 고려한 어린이공원 내 말벌속(genus Vespa) 출현 경향 분석
  • 일반논문[20191001] 산림경관천이모델(LANDIS-II)를 이용한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산림의 생물량 장기변화 추정 연구 -충청북도 영동군 학산면 봉소리 일대 산림을 중심으로-
  • 일반논문[20191001] 다중시기 항공 LiDAR를 활용한 도시림 개체목 수고생장분석
  • 일반논문[20190801] 우포늪 습지보호지역 보전계획 개선방안
  • 일반논문[20190801] 국내 육상경관 연결성의 정량적 분석 및 시각화
  • 일반논문[20190401] Relationships between Social Capital, Social Capital Satisfaction, Self-Esteem, and Depression among Elderly Urban Residents: Analysis of Secondary Survey Data
  • 일반논문[20190201] 도시 녹지공간 식생 모니터링을 위한 무인항공기 활용방안
  • 일반논문[20181201] 도로에 의한 산림 내 온습도 변화
  • 일반논문[20180827] 항공영상을 활용한 도로개발 전·후 산림 훼손지 개체목 분석
  • 일반논문[20180801] 기초지자체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도시회복력 평가 및 증진방안: 수원시를 대상으로
  • 일반논문[20180201] NDVI를 활용한 도시 녹지 분석 및 도시공원 조류 종다양성 분석 모형 개발
  • 일반논문[20180201] 원격무선추적을 이용한 곤줄박이(Parus varius)의이소(離巢) 직후 행동권 분석
  • 일반논문[20171001] 환경공간정보의 이해와 활용
  • 일반논문[20170901] Habitat Pontential Mapping of Marten(Martes flavigula) and Leopard Cat(Prionailurus bengalensis) in South Korea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 Machine Learning
  • 일반논문[20170801] 도시공원의 생태계서비스 평가지표 개발 및 측정가능성 검토
  • 일반논문[20170601] 도시 내 가로수의 광선투과량에 따른 온도저감 효과
  • 일반논문[20170601] 종분포모형을 이용한 도시 내 양봉꿀벌 서식환경 분석 연구
  • 일반논문[20170201] 도시공원 경관 연결성 및 구조에 따른 조류 종다양성 분석
  • 일반논문[20160601] 도시산림 내 침입교란종 출현현황 및 서식특성 연구
  • 일반논문[20160201] 침입교란종 개념 정립 및 영향요인 고찰
  • 일반논문[20160101] Landscape factors affecting the distribution of the great tit in fragmented urban forests of Seoul, South Korea
  • 일반논문[20150801] 한국잔디 줄기를 이용한 식생기반재 뿜어붙이기공법의 적용성 연구
  • 일반논문[20150601] 도시공원 구조 및 식생 조건에 따른 조류 종다양성 분석- 천안시 26개 도시공원을 대상으로 -
  • 일반논문[20150401] Habitat Mapping of the Leopard Cat (Prionailurus bengalensis) in South Korea Using GIS
  • 일반논문[20150201] 종분포모형을 이용한 수원청개구리의 번식기 서식지 분석
  • 일반논문[20141031] 지역규모의 지형경관 보전을 위한 상대고도 분석 방법론 제안:분석범위 설정을 중심으로
  • 일반논문[20140831] 환경친화적 풍력단지 평가체계 구축을 통한 입지선정 및 잠재량 분석
  • 일반논문[20140228] Spatial and temporal change in landslide hazard by future climate change scenarios using probabilistic-based frequency ratio model
  • 일반논문[20131001] 곤충류 종다양성을 고려한 농경지 보전가치평가
  • 일반논문[20130901] A multi-scale metrics approach to forest fragmentation for Strategic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일반논문[20130601] 통계모형을 활용한 박새류의 서식지 연결성 평가: 서울시 도시생태현황도 자료를 중심으로
  • 일반논문[20130201] 생태네트워크로서의 토양네트워크(Gold Network) 제안
  • 일반논문[20130101] The sensitivity of species distribution modeling to scale differences
  • 일반논문[20120801] 사용자 만족도 조사를 통한 국토환경성평가지도 발전방안 연구
  • 일반논문[20120601] 이질적 경관에서의 연결성 측정: 리뷰 및 적용
  • 일반논문[20120601] 국토환경 모니터링 지표로서의 국토환경성평가지도 활용방안
  • 일반논문[20120401] 국토환경성평가지도 자연성 평가기준 개선
  • 일반논문[20120401] 산림파편화에 대한 국내·외 연구동향
  • 일반논문[20120401] DMZ 일원 보전·이용지역 설정 및 가이드라인 수립 연구
  • 일반논문[20120201] 고라니 서식지 분석을 위한 기계학습식 종분포모형 비교
  • 일반논문[20110801] 위성영상으로 분석한 장기간 남한지역 순 일차생산량 변화: 기후인자의 영향
  • 일반논문[20101001] 광역생태축 구축을 위한 기준 및 관리지역 설정 연구
  • 일반논문[20100601] 개발사업에 따른 조류종 영향평가모형 개발 및 적용
  • 일반논문[20100401] 식생 군집구조 안정성 평가항목 보완을 통한 국토환경성평가지도 개선방안 연구
  • 일반논문[20091001] 도시숲 조성 및 관리를 위한 도시숲 유형화 및 적용방안
  • 일반논문[20090401] 조류·포유류의 분포와 산림면적, 토지피복과의 관련성
  • 일반논문[20081001] 삵의 서식지 적합성 평가를 위한 분석단위 설정 및 보전지역 선정 - 충청도 지역을 중심으로 -
  • 일반논문[20080601] 경관투과성 및 최소비용경로 분석을 통한 수도권 지역의 광역생태축 구축 연구
  • 일반논문[20080401] 경관의 특성에 따른 동물의 이동경로에 관한 연구
  • 일반논문[20080201] 국토환경성평가지도 평가항목 구성의 적정성 검토
  • 일반논문[20071001] Improvement and Application for Environmental Conservation Value Assessment Map (ECVAM) of Nationwide Land in Korea
  • 일반논문[20070901] 대축척 국토환경성평가지도 작성방안 연구
  • 일반논문[20070801] 백두대간지역의 산림훼손경향 분석
  • 일반논문[20051101] Analysis of deforestation patterns in the Baekdudaegan preservation area using land cover classification and change detection techniques; the feasibility of restoration
  • 저서/역서[20231205] 조경의 새로운 도전
  • 학술발표[20211203] 딥러닝을 이용한 카메라 트래핑 분류 활용방안: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녹지공간을 중심으로
  • 학술발표[20211203] UAV를 활용한 멸종위기야생식물 가시연꽃 모니터링: 충남 승언1저수지를 대상으로
  • 학술발표[20211203] 광학문자인식(OCR) 분류를 활용한 UAV 기반 외래 거북 개체식별 모니터링
  • 학술발표[20211203] 인공저수지에 서식하는 외래 거북의 시공간적 분포 변화 조사
  • 학술발표[20211203] 사회경제 시나리오 기반 미래 토지이용 변화에 따른 산림경관 변화 분석
  • 학술발표[20211203] 연결성 모델링을 활용한 빈집 녹지화 평가
  • 학술발표[20211203] 임시 시드존과 종분포모형을 이용한 자생 종자 서식 범위 연구
  • 학술발표[20211202] 박새과 둥지 재료를 이용한 도심 중금속오염 모니터링
  • 학술발표[20201022] eDNA와 회로이론을 활용한 도시생태계 종다양성 평가
  • 학술발표[20201022] 미국 시드존(Seed transfer zone) 정책 현황과 국내 적용 방안
  • 학술발표[20201022] HSI와 MaxEnt의 비교를 통한 삵의 서식지 예측 연구
  • 학술발표[20201022] 경관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도시 빈집 녹지화 방안 연구
  • 학술발표[20201022] 산림 경관모형을 활용한 댐 유역생태환경 변화 분석 - 대청댐 유역을 대상으로 -
  • 학술발표[20200626] 초분광(Hyperspectral) 이미지를 활용한 침엽수종 분광값 비교 연구
  • 학술발표[20200626]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 DNA(eDNA) 도시생태계 생물종 모니터링 기술 제안
  • 학술발표[20200522] 먹이사슬을 활용한 도시 생물종의 서식지 예측 연구
  • 학술발표[20200522] 딥러닝 기반 카메라트래핑 데이터 자동 분류 활용 연구
  • 학술발표[20200522] 인니 룸핀 양묘장 조성 사업 모니터링을 통한 국내 산림협력사업 ODA 사업 평가 및 제안
  • 학술발표[20181128] Analysis of Microhabitats Environment Considering Appearance Information of Hornet(Vespa) in Urban - focus on Cheonan city, South Korea
  • 학술발표[20181127] Using Radio Tracking for Home-range Analysis of Tits in the Post Fledging Period
  • 학술발표[20181101] 소방서비스 신고 데이터를 활용한 도시 내 말벌과(Vespidae) 출현 경향 분석
  • 학술발표[20181031] 원격무선추적을 활용한 이소 직후 박새류의 행동권 분석
  • 학술발표[20180330] UAV 영상을 활용한 도시 산림의 NDVI 변화 모니터링
  • 학술발표[20171026] 원격무선추적을 이용한 이소(離巢) 직후 곤줄박이 행동권 분석
  • 학술발표[20171026] 도시 내 미소(微少) 환경을 고려한 말벌 출현지역 분석
  • 학술발표[20170414] 종분포모형을 이용한 도시내 꿀벌 서식지 선호도 연구